1. 콘솔 출력
fun main() {
print("Hello") // 줄바꿈 x
println("Hello") // 줄바꿈 o
}
코틀린에서 콘솔에 출력할 때는 print, println을 사용한다.
자바와 비교했을 때 세미콜론이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되는 게 특징이다.
안 붙이는게 더 옳은것!
2. 변수 선언
fun main() {
var i = 10 //정수
var name ="string" //문자열
var PI = 3.14 // 실수
}
코틀린은 타입을 추론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별도로 타입을 지정해주지 않아도 된다.
타입을 지정하고 싶을때는 이렇게, 변수 선언 뒤에 콜론 찍고 타입을 지정해주면 된다.
fun main() {
var i : Int = 10 //정수
var name : String ="string" //문자열
var PI : Double = 3.14 // 실수
}
코틀린에서는 모든 타입들이 레퍼런스 타입을 가지고 있고 자바에는 int, 그렇게 쓰는 데 코틀린에서는 모두 이렇게 대문자로 시작된 애들로 시작할 수 있다.
대문자로 되어있는 타입들로 지정해주면 된다.
3. 상수 선언
fun main() {
val PI = 3.14
}
상수를 선언하고 싶을 때는 이렇게 val 키워드를 사용해 선언해주면 된다.
- 변수 : 재대입 가능
- 상수 : 값을 바꿀 수 없음 자바의 final과 동일
const val PI = 25
fun main() {
}
자바에서는 클래스 선언하고 main 함수 안에서 작성해야 햇지만 코틀린은 클래스 없이 그냥 main 함수만 있으면 된다.
이 main 함수 바깥에 const 키워드를 붙여서 값을 선언하고 지정할 수 있는데, 이걸 탑 레벨 상수.
main 보다 우선시해서 컴파일 되기 때문에 컴파일 타임 상수라 한다
const final을 붙인거라고 보면 된다.
4. 형 변환
fun main() {
var i = 20 // integer 타입
var I - 20L // long 타입
i = I // 불가능(x)
}
L 붙이면 long, 안 붙이는건 integer다.
본래 i=I 같은 경우 자바에선 자동으로 형변환 되어 들어가지만 코틀린에선 타입이 다르면 안들어간다.
i.toLong() 등의 형변환 메소드를 사용해서 명시적으로 형변환을 해주어야 한다.
- toLong() : long 타입으로 변환
- toInt() : int 타입으로 변환
- toString() : string 타입으로 변환
'Coding > Kotlin(코틀린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Kotlin] 코틀린 기본 문법 정리 4 - List, Array, Try-Catch, Null Safety (0) | 2024.06.23 |
---|---|
[Kotlin] 코틀린 기본 문법 정리 3 - 조건문, 반복문 (0) | 2024.06.23 |
[Kotlin] 코틀린 기본 문법 정리 2 - 문자열, MAX/MIN, Random, 입력 (1) | 2024.06.23 |